Right church

I’ve always thought this about churches but it’s a peculiar organization filled with … profit-motive and also other motives. It’s very interesting to look deeper into what motivates people to do things the way they do there. Some people go to church to look for spiritual guidance. Some to find company to relieve their loneliness. Some to find meaning. It seems like they use a variety of techniques to get people to pay up money and supporting churches. ‘Feigning a certain type of brand image’ seems to be one of them. To pretend like they are doing a lot for the community … might be an example as well.


[5:54 PM]I have always been disappointed. It never had to be that way. Whether it’s a cult that extorts money from people promising them some spiritual awakening, or even corrupt christian churches, the leaders of those organizations seem to care very little for the followers and the people in pain who actually need help. instead, they make a living off of taking advantage of those people, convincing them A is right, or they need to do B. Or even worse, they might even pretend to be “spiritual authority” … and then just fool people into following them as spiritual leaders.


At an ideal church, or just a group that helps each other … there would be no donation necessary or money-motive whatsoever. Almost like a free-forming “meetup” group that’s open to everyone, we could just come together from all walks of life and celebrate God, spirituality, values and morality and how to strengthen ourselves spiritually.

I guess that’s too much to ask in today’s day and age of money-hungry people.

I pray that God gives us true guidance, the wisdom to tell apart the corrupted from the innocent. So that next generations will be wiser than the one currently living now. We need true churches that cares about its brothers and sisters.

The Beatitudes

I had never understood why Jesus said this … blessed are the meek and the humble and peace-makers …

I started thinking today … that maybe … in this world full of power-grabbers, backstabbers, people willing to do anything to show off and assert their dominance over other people … (it must have been like that back then too) … and cause strife, conflict, power struggles and unnecessary anger …

The one who lives for their fellow brothers and sisters is the one that KNOWS that other people naturally try to do this. That all human beings have a tendency to want to feel powerful / popular … that nobody wants to feel weak, unimportant and irrelevant.

And so he/she adjusts his attitude in this crowd of fighting people. He can be the meek one. She can be the humble one. Blessed are the peacemakers for they shall be called the Children of God. He/she picks the narrow path. Undeniably the harder path, the hardest path … is to realize that other people have this natural tendency to assert dominance and fight for dominance … and to understand that and to move forward without contributing to that chaos.

Being a peacemaker in this situation, cannot be considered “weak” but instead wise … and aligned with the Spirit of God in the big picture … fighting for dominance between each other is such a small deal in the big scheme of life.

To create the world that God envisions in this world, it is perhaps the willingness to be humble, to seem meek, and in a lowly position that will create harmony between all the men and women. On the contrary, perhaps it is the tendency for certain people to show off, brag, to want to seem powerful and in a high important position … that causes unnecessary strife and disharmony.

And he opened his mouth and taught them, saying:

“Blessed are the humble in spirit, for theirs is the kingdom of heaven.

“Blessed are those who mourn, for they shall be comforted.

“Blessed are the meek, for they shall inherit the earth.

“Blessed are those who hunger and thirst for righteousness, for they shall be satisfied.

“Blessed are the merciful, for they shall receive mercy.

“Blessed are the pure in heart, for they shall see God.

“Blessed are the peacemakers, for they shall be called sons[a] of God.

10 “Blessed are those who are persecuted for righteousness’ sake, for theirs is the kingdom of heaven.

11 “Blessed are you when others revile you and persecute you and utter all kinds of evil against you falsely on my account. 12 Rejoice and be glad, for your reward is great in heaven, for so they persecuted the prophets who were before you.

Books are amazing

I’ve realized recently that books are a real amazing way for us to get on the same brain wavelength as some of the greatest minds that have ever evolved and lived in this world. Autobiographies are especially great but fiction writers are just as good.

As we tap into their consciousness, we can glean and absorb all sorts of (not just knowledge) … spiritual consciousness. Their love. Even their passions. Their interests. Their unique sense of humor. Their tastes. Their left brain and right brain. The way they say things is a real great way for us to learn to be like them, think like them. The way they order phrases and sentences, even, is a huge boon for our mind. I guess that’s why we always love quotes from famous people as well. Things that buddha said, jesus said, albert einstein etc … we get a glimpse into the extraordinary brain wave that existed when they were alive.

I’ve been realizing that good writing cannot come from a “bad” consciousness. Meaning unless he/she works on themselves mentally, physically, spiritually, good writing just cannot (it is impossible) to be born that actually touches people in a major way. I feel that I’ve tried myself. When I drink too much alcohol or don’t take care of myself, or am lacking discipline in some area of my life, it shows in my writing. It’s not as fluid, not as strong. I can’t get a grip on what I’m trying to say. But when I have a good handle on my spiritual life, it really just flows, I believe, from the Spirit.

Perhaps same with voice, speaking voice, singing voice. Usually a voice, and the power that comes from a voice, is a reflection of their inner strength and spirit as well …

P.S.

Elon Musk better keep working on NeuraLink … so that we can eventually “download” and “upload” brains into our collective internet! 🙂 that would be cool.

Colors of the Wind

my fav song! lyrics are beautiful.

How high does the sycamore grow

if you cut it down, you will never know.

we need to sing with all the voices of the mountain.

we need to paint with all the colors of the wind.

whether we are white or copper-skinned

you can own the earth and still

all you will own is earth until

you can paint with the colors

of the wind

젊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치는 일

나이가 어렸을 때는 별로 누구를 가르치고 싶다거나 지도하고 싶은 마음이 전혀 없었다.

나도 이제 청년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나이가 높아지고 있지만 그래도 청년들에게 영향을 끼치고 어떤 특정된 방향으로 지도하려고 하는 나이든 사람들을 보면 약간 비판적인 생각이 많이 든다. (현재의 40대, 50대, 60대 사람들). 너무 강요를 해서 부담스러울 때가 많다. 근거가 별로 없다. 자기의 행동이나 어려운 일을 성취함으로서 롤모델이 되려는 생각을 하지도 않는다. 그냥 쉽게쉽게 말로만 처리하려고 한다. “이렇게 해라.” “저렇게 해라.” “진리란 이것이다.” “자기를 따르라” 고 말만 하지 정당한 이유를 말하지는 않는다.

정말 동등한 시점에서 설명해주었으면 좋겠다. 내가 왜 그렇게 해야되냐.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이야기하는 태도가 아니라 (꼰대질은 쉽게 질린다) 그걸 설명해주는 일이 그렇게 어려울까? 아마도 정당한 이유가 없고 “내가 그렇게 믿으니까 너도 그렇게 믿어라” 라는 터무니없고 비합리적인 생각을 강요하려고 하니까 설명하기가 힘들 것이다.

어떤 사회적 위치에서 정당한 이유로 존경이나 존망을 받지 못하는 사람일수록 더 꼰대질에 고집한다. “내가 나이가 많으니까 너는 나의 말에 순종하고 내가 더 잘 안다.” 무슨 말도 안되는 소리인가? 제갈량은 유비보다 20살은 더 어렸다. 요즘에 entrepreneurship 과 innovation 을 담당하는 선구자들은 젊은 사람들이다.

나도 책을 쓸 때나 다른 사람들앞에서 무언가 이야기를 나누어야될 나이가 되면 이런 식의 강요를 하기는 싫다. 두번째 쓴 책에서도 약간 너무 꼰대질이 아니냐고 하는 편집자의 말에 약간 충격이었다. 아마도 자기중심적으로 내가 믿는 것만 너무 고집해서 그런 것일수도 있다.

정말 내 자신이 배우고 싶고 존경하는 롤모델들은 말을 그럴싸하게 하는 사람들이 아니다. 오히려 나랑 말을 그렇게 말을 한 적이 없거나 아예 그냥 한번도 만난 적이 없는 사람들이 가장 큰 우상이 된다. 그 사람들이 행동을 통해서 보여준다. 말은 적게 하고 행동으로 보이는 사람들이다. 용기. 성숙함. 진리. 지혜. 인덕.

누구를 가르치고 지도하고 싶지는 않다. 나이가 들면 다 비슷하게 내가 깨달았던 것들을 다 깨달을 것이다. 하지만 나의 작품이나 행실을 통해 용기/기쁨을 얻는 사람들이 있었으면 좋겠다.

만약에 하나 라도 제대로 말하고 싶은 것이 있다면 … 자기자신을 믿고. 어려울 때 포기하지 말고. 자기의 꿈을 버리지 말고. 타인의 시선 신경쓰지 않고 전력을 다해서 모든 일에 도전해 보아라. 그것이 아닐까.

Carpe Diem 하라고. 그리고 나같이 늙어 가는 사람들을 초월하라고. 부모님이 하라는 대로, 나이든 사람이 하라는 대로. 상사가 하라는 대로가 모든 것이 아니라. 다음의 세대는 그 전의 세대를 초월해야 된다고. 꼰대질하는 사람들 별로 신경쓰지 않고 자기만의 철학을 믿을지라도 “진리” 를 쫒아가라고. 진리가 승리라고.

한국도 점점 그런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다.

진정한 리더 (True Leader)

진정한 리더는 타인, 하인, 부하에게 권세, 나이, 지위나 우월을 내세워서 이래라 저래라 명령하는 사람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이기적인 꼰대질, 강요뿐이다. 자기의 의지대로 하지 않는다고 아랫사람을 구박하고 소리지르고 화를 낸다면 그것은 벌써 리더십이 없음을 이야기한다.

I believe a true leader is not somebody who uses their position, authority, some form of superiority or power to order people around to do their bidding.

진정한 리더는 다른 사람들에게 구지 자신의 우월함을 설명하거나 증명하지 않아도 벌써 다른 사람들이 그 사람을 추종하고 존경하게 되어있다. 진정한 리더는 벌써 그 타인과의 교류가 있기 전에 오래전에 리더의 인격을 갖춘 사람이다.

A true leader does not have to prove their superiority or explain it even with words. Other people will already have respected and followed that person. A true leader is already a leader before interacting with those below him/her. He/She has already acquired the virtues necessary to become such a leader through years of dedication.

그리고 상대방을 위해서 희생을 할 마음가짐, 충분히 이해하려는 마음가짐이 있고 그런 따뜻하고 인자한 마음을 가짐과 동시에 강한 힘을 가진 사람이다. 그 상대방 (부하, 하인, 아랫사람, 후배) 을 어떤 방면에서 진심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과 마음씨를 가진 사람. 능력이 별볼일없는 착한 사람은 리더가 아니다. 능력은 엄청 출중한데 다른 사람을 위해서 헌신하지 않는 사람도 리더가 아니다.

A true leader must also have strength and fortitude but also the servant-leader mindset, the warmth & willingness to help and understand his/her fellows. Both the ability and the kindness to improve those below him/her in one aspect or another. A nice guy without much strength is not much of a leader. A hot-shot who can do everything but a complete selfish asshole is also a terrible leader.

진정한 리더는 모두를 위해서, 세상을 위해서 분발하고 노력하고 희생하고 본보기 role model by example 이 되어서 주변사람들을 inspire 하고 그 행동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사람이다. 다른 사람들이 자기혼자서 쉽게 이루어내지 못하는 일들을 리더같은 인물이 코치, pioneer, 치어리더, 멘토, 선배, 목사, 선구자가 되어서 이루게 도와주고 어떻게 하는지 용감하게 먼저 보여주는 것. 아무리 힘들어도 포기하지 않고. 일생안에서는 그 보답, 보상으로 아무것도 기대하지 않은 체. 예수처럼. 부처처럼. 간디처럼. MLK 처럼. JFK 처럼. Bruce. Steve Jobs. Bill Hicks. Tesla. Einstein. 김대중씨. 다들 그렇게 살다가 죽었다.

A true leader works hard every single day and dedicates himself/herself for the good of the world and those around him/her. They lead by example, inspire and help those around them through action. In regards to great feats and challenges that cannot be easily accomplished, these leaders act as coaches, pioneers, mentors, trailblazers and shepherds and show us the possibility of how it can be done by acting with courage, initiating something new. No matter how tough it is, without expecting any reward in return. They all lived like that and died.

Dictatorial 한 insecure 리더들은 타인의 의견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자기의 의지대로만 타인 위에 서서 명령하려고 들지만 (“My way or highway!”),

현명한 리더는 모두의 의견을 호기심가지고 듣고, 아무리 어리거나 낮은 사람도 자기자신의 의견을 가질 권리가 있다는 것을 존경하고 인정하고.

열린 마음을 가지고 듣고, 넓은 마음으로 포옹하고,

자기자신이 틀렸다고 증명되면 과감하게 겸손하게 인정하고 사과하고. 오히려 자기자신을 수정해주고 고쳐주는 사람들을 격려하고 고마워하는 사람이다.

An insecure dictator cannot accept the opinions of others or advice of those around him, instead just tries to steamroll others into submission to make himself/herself feel powerful and better. “Do this or do that or you are fired. My way or the high way.”

A wise leader is the opposite. They listen to all with curiosity. No matter how young or lowly or humble that other person seems to be. He/she respects and honors everyone’s right to have an opinion and express it. They listen with open mind, a warm, understanding mind.

And when it turns out that you were wrong, proven wrong, it is more the occasion to be a leader, more occasion, BEST OCCASION to stand tall and communicate. “I was wrong.” Admit it and apologize humbly and loudly. It is the BEST time to lead by example.

Instead, thank those who correct you and on the contrary, encourage them to keep doing that. “Whew, I was going off the rails! Thanks so much! 😉 ” A leader makes mistakes just the same.

그것의 나의 작은 의견입니다.

그리고 이런 리더십의 자질 이 세상 모든 형제 자매 분들안에 잠재하고 있다는 것. 주님께서 알맞은 시간에 그 잠재력을 깨워주시리라 믿습니다.

And this Spirit lives and sleeps inside all of you brothers and sisters. And at the appropriate time, God will awaken it so that we can will and act according to God’s good purpose. He awakens the leader in every single one of us!!

CARPE DIEM

The body is a temporarily loaned domicile that houses a Spirit.

The body is a temporarily loaned domicile that houses a Spirit. Once you are able to cleanse and awaken the Spirit with the help of God (and others aka mentors/partners), you become one with the stream of pure consciousness with the universe.

Then you are able to listen to God’s desires for you and act accordingly based on his inspiration, energy and grace and achieve superhuman feats in this world as did many greats who came before us.

All the nameless human beings who used to house this world have been easily turned to dust and forgotten. They ate, slept, mated, and did whatever human beings have been doing since the evolution of apes and then became one with the soil again. It it inevitable, quite necessary for this to happen.

The only ones that remain in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of our history are deservingly the ones who gave up their selfish life for the good of many and pushed forward the level of our existence.


Once we die, it is “time’s up”. We must do all that is possible before the time is up, with the temporary bodies and the genetic potential we are given at that moment in time.

And then we die. And the cycle continues. With every iteration of the human species, there’s people who awaken themselves and sacrifice their lives in order to push human evolution forward. It is our grave responsibility to set aside our selfish desires, achieve pure consciousness and live our lives dedicated to the service of many. 

The concept of “eternal life” might have been more or less a metaphor – where the key to immortality is living a life worth living. If you cleanse your Spirit and achieve the consciousness at the highest level, then you become one, unified and joined with divine universal wisdom. At that point, you cease being just you, whether you are John or Ethan or Tom or Anthony or Kathleen or Jennifer. You start living life as one servant of the Universe, dedicated to the good of all beings on this universe. At that stage, you serve the world as best as you can, and inevitably you die. At the end of that journey, it ceases to matter whether you lived 40 years or 80 years or eternally. As long as the Spirit exists, to help the world, to love all your brothers and sisters, to give up your selfish desires for the good of many … as long as that consciousness keeps flowing and it will as long as the Spirit/Universe/God exist …. then it wouldn’t matter that Terry or Katie or Sunny or Olivia are now dead and separated from their body.

We live in each other’s collective consciousness, and we live fo each other until the End of time. Until the end of time. The Spirit never dies. Nor the collective wisdom of our past. The ones who gave their lives for this iteration and the next – those we thank, and then we pay it forward.

And the cycle continues!

(I hope in the next iteration, we are living with much more abundant love, acceptance, wisdom, compassion and patience in our hearts! Carpe Diem)

P.S.

To die a glorious death for the service of many is much better than having lived out your human life-span over 90 years and dying painfully of some natural cause or cancer. What good would it be for me to take up more food as a dying old man.

P.S2

Don’t leave any regrets! 🙂 We are going to die anyways. And that’s kinda liberating.

나이가 들어가는 것

이제 좀 있으면 30대가 훅 지나고 젊어지지 않을 것이란 생각이 듭니다.

언제까지만 젊을 것 같았는데 요즘에 거울을 보던지 아니면 회사에 들어오는 신입사원들의 얼굴을 보면 제 자신이 나이가 들었다는 것을 느낍니다

하지만 나이가 들어가는 것이 딱히 예상했던 것보다 terrible 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물론 잃는 것도 많지만 (어린 외모, 운동신경, 메타볼리즘이라던지, 어렸을 때 사귀었던 친구들이라던지, 어렸을 때 많이 있었던 자유시간등등) …. 그 대신에 얻는 하나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느낍니다. 딱히 나쁘지는 않습니다. 정신적인 성장. 영적인 성장. 저는 그것을 다음세대에 물려주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 다음 세대가 저희들의 세대보다 나아지기 위해서.

약간 욕심은 남아있습니다. ‘젊었을 때처럼 매일매일 뛸거야!’ ’10년전에 했던 것만큼 아령을 들거야!’ 그런 욕심으로 운동을 하고보면 요즘에 몸이 고장이 나는 것을 느낍니다.

앞으로도 많은 것을 내려놓고 let go 해야될 것 같습니다. 한동안 내려놓지 못하는 것들이 많았습니다. 모든 것을 완벽하게 하고 나이는 전혀 상관이 없다 라고 생각했지만 그것은 비현실적인 이야기입니다.

남아있는 시간을 잘 쓰도록 약속하겠습니다.

주님을 위해서. 여러분 형제 자매 분들을 위해서.

오늘도 carpe diem. 사랑합니다. 감사드립니다.

사회적 가치관과 문화 (Culture)의 영향

9

사회적 가치관과 문화 (Culture)의 영향

       2019 년 4월, 인도의 텔랑가나 주에서 스무 명의 인도 학생들이 국가고시에서 나쁜 점수를 받아 자살을 한 비극적인 사건이 있었습니다. 15 ‘시리샤’라는 이름의 학생은 십대의 소녀였는데 생물학 시험에서 낮은 점수를 받은 후에, 집에서 부모님이 외출을 하기를 기다렸고 불을 질러 자살 했습니다. 이 사건이 끝난 뒤 조사를 해본 결과 학생들의 시험지에 점수를 매기는 시험 소프트웨어 안에 오류가 있어서 정확한 점수가 계산되지 않았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정말 끔찍한 비극이자 불운입니다. 경아 누나가 대학교 때 중간고사를 본 후에 낙심하고 자살했던 기억을 상기시켰습니다.

학업 스트레스와 교육 경쟁이 심한 특히 동양의 나라들에서 자살이 더 흔해지고 있습니다. 인도는 한국과 비슷하게 좋은 대학교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중고등학교의 성적과 수능의 점수가 필수적이고 명문 대학교의 학력이 장래의 취업률에 강한 영향을 끼칩니다. 아마도 그런 이유 때문에 학생들에게 수능 점수가 생사의 문제처럼 생각되었던 것일 수 있습니다. 동양 문화에 생소한 서양인들은 도대체 왜 학생들이 시험 점수 때문에 그 정도로 스트레스를 받아 자살을 하는지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지만 치열한 경쟁 사회에 익숙한 한국인 여러분들은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것은 단 한 사람의 탓이 아닙니다. 이것은 사회 전체의 ‘문화’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생각합니다.

15 Nagaraja, Gali. (2019, April 25). “19 Telangana students commit suicide in a week after  ‘goof-ups’ in intermediate exam results; parents blame software firm.” Firstpost, www. firstpost.com/india/19-telangana-students-commit-suicide-in-a-week-after-goof-ups in-intermediate-exam-results-parents-blame-software-firm-6518571.html.

       한국을 예로 들어보면 인도보다 더 심각한 상태에 있을 수도 있습니다. 한국의 문화는 지난 50년 동안 엄청난 속도로 발전한 경제 덕분에 거듭 변화하였습니다. 하지만 모두가 아시다시피 지난 20년 동안 놀라울 숫자의 연예인, 정치인 혹은 유명인들이 우울증에 걸려서 자살을 하는 현상이 경제발전과 비슷한 속도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강남에 위치한 서울 카운슬링 센터의 CEO 이자 담당 정신과 의사이신 Chad Ebesutani 씨는 “한국인 사회 안의 청년들에게는 아주 명백하고 커다란 사회적인 압박이 있으며 그 압박은 성공을 해야 된다는 것과 성공의 의미를 둘러싸고 있다 (There’s a very  clear societal pressure on South Koreans, especially young adults,  based around a really high, unidimensional focus on one definition of success)” 고  언급했습니다. 16 Watkins, James & Ebesutani, Chad. (2018, February 9). “South Korea’s mental health  problem — that Koreans don’t admit.” OZY. Retrieved from

 https://www.ozy.com/acumen/south-koreas-mental-health-problem-that-koreans-dont admit/83629.

 59

A collage of a person

Description automatically generated with low confidence

위의 사진은 지난 20년간 자살을 통해 목숨을 잃은 연기 배우, 연예인, 뮤지션 등을 포함한 유명인들입니다. 에프엑스의 설리(2019년 사망), 카라의 구하라 (2019년 사망), 샤이니의 종현 (2017년 사망), 여배우 최진실 (2008년 사망) 과 야구선수 조성민 (2013년 사망),  배우 박용하 (2010년 사망), 배우 이은주 (2005년 사망), 배우 정다빈 (2007년 사망), 가수 유니 (2007년 사망), 모델 김다울 (2009년 사망), 그 외에 많은 연예인들이 자살로 생을 마감하였습니다.

많은 한국인들이 이런 문제들이 일어나는 이유가 작은 나라 안에서 일어나는 심한 경쟁률과 성공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그 문화 안에서 나온다는 것을  어느 정도 짐작하고 있습니다. 청년들은 사춘기를 갓 지난 시기부터 가장 유명한 학교에 입학하여 가장 유명한 곳에서 취업을 하고 가장 큰 기회를 쟁취해서 부자가 되는 것이 큰 승리라는 가치관을 주위의 환경으로부터 흡수하게 됩니다. 이 메시지는 가족, 친구들, 사회, 영화, 텔레비전이나 인터넷의 미디어를 통해서 반복되고 이 “성공”이라는 단어를 중심으로 하나의 비뚤어진 이미지가 창조됩니다. 그리고 이 “성공”이라는 단어의 이미지 때문에 그 이미지를 완벽하게 충족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사회에서 저평가 받습니다. “성공은 X라는 곳에 있는데 너는 훨씬 더 뒤떨어진 Y라는 곳에 있다. 너는 X를 성취하지 않는 한 부족하다”라는 심리를 사회로부터 흡수 받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사고방식은 절대 공평하지도 않고 지속 가능하지도 않으며 나라의 모든 시민이 완벽하게 성취하기에 불가능하기까지 합니다. 어느 정도 삶의 기준에서 만족하는 것이 아니라 비현실적으로 높은 성취와 부귀영화에만 집착하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두뇌와 내적 대화는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그 나라의 환경과 사회의 흐름에 따라서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일어납니다. 이것은 한국 뿐만이 아니라 일본, 인도, 미국, 그리고 세계 어느 나라에서나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 나라 안의 사람들끼리 공유하는 믿음과 가치관은 우리들의 일상생활을 포위하게 되고 영화, 방송, 광고, 교과서, 소셜 미디어, 대화, 신문, 잡지, 포스터 등을 포함한 다양한 각도에서 매일 우리들에게 쏟아지고 있습니다. 우리는 알지도 못하게 무의식적으로 무엇이 중요하고 무엇이 예쁘고 무엇이 옳고 그릇됐는지를 사회에서 흘러나오는 정보의 흐름 속에서 흡수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흘러나오는 사회의 영향 속에 “너는 좋은 시험 점수를 받지 못하면 결국엔 좋은 직업을 가질 수 없고, 좋은 대학교에 가지 않거나 좋은 직업을 갖지 못하면 인생에서 실패자가 된다” 같은 편견을 차츰 흡수하게 되면 당신의 내적 대화가 치명적인 독에 걸리는 것과 비슷합니다. 시험을 망쳐서 자살을 하게 되는 소년 소녀들은 바로 이런 현상을 통해서 사회의 메시지를 흡수하고 자살을 생각하게 된 것이 아닐까라고 추측합니다. 물론 이것은 저의 작은 의견에 불과하지만 논리적으로 생각해봤을 때 그렇게 많은 숫자의 어린 청년들이 왜 시험 점수를 생사의 문제로 생각했을까 라는 점을 계속 질문하다 보면 이런 생각을 하게 됩니다. 한 명의 유별난 케이스나 특정한 상황 때문에 일어난 고립된 자살이 아니라 이렇게 시험 점수 때문에 다수의 사람들이 자살하는 패턴이 한국, 미국, 인도를 포함한 많은 나라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을 보면 우리에게 아직 명백하지 않지만 어떤 공통점이 있는 패턴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들은 우리 각자 살고 있는 나라의 문화와 환경이 우리의 내적 대화에 얼마나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는지를 깨달아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의 정신세계는 사회가 만들어내는 텔레비전, 소셜 미디어, 광고, 영화 등의 강력하고 매혹적인 영향으로 인해서 악화될 수도 있고 우울증에 더 취약해질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자기 자신이 살고 있는 나라의 문화와 영향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일이나 어렸을 때부터 배워왔던 모든 가치관을  다시 고려해 보는 일은 결코 쉽지 않습니다. 한국같이 유교사상을 옛날부터 대대로 물려받은 나라에서는 젊은 사람이 나라의 가치관이나 전통적인 문화에 대해서 비판적이기 힘듭니다. 하지만 이렇게 우울증과 자살률의 빈도가 상승하고 있는 위기에는 힘든 과제에 도전해야 될 필요가 있습니다.

사회의 가치관이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다른 예는 동양인계 미국인 (Asian-American)  인구에서 볼 수 있습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재미교포 인구를 포함한 동양인계 미국인 커뮤니티는 “성공” 을 쟁취하기 위해서는 하버드나 예일 같은 아이비리그 대학교에 입학하여 의사 혹은 변호사같이 명예 높은 직업을 얻어야 한다는 고정관념에 둘러싸여 살아왔습니다. 가장 좋은 학교에 들어가 돈을 많이 벌어서 가장 이름있는 직업을 얻고 가장 비싼 자동차를 사서 잘 먹고 잘 사는 것이 “성공”이라고 이곳의 사회는 말해왔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과연 차세대의 아이들과 청년들을 위해서  도움이 되는 조언일까요? 이렇게 제한되어 있는 성공에 대한 가치관은 아이들의 시야를 좁게 만들고 청년들의 시선을 그저 부귀영화를 누리고 다른 사람들 앞에서 뽐내는 삶에 집중하게 합니다. 인내, 사회발전, 도덕, 희생, 봉사, 정신건강 등의 퀄리티들은 전혀 강조되지 않고 그저 학교와 직장의 경쟁에서 승리를 쟁취하는 것만이 가장 중요하다는 얕은 가치관이 아이들의 두뇌 안에 들어옵니다. 이런 가치관을 가지게 되면 어린이들도 경쟁과 성취에만 집착하게 되고 성적이 조금 좋으면 만족하고 조금이라도 뒤처지면 낙심하거나 시기하거나 죽고 싶어하는 그런 극단적인 완벽주의자의 정신상태로 번질 수 있습니다.

       저는 이 성공의 의미가 완전히 틀렸다고 주장하는 것이 아닙니다. 의사나 변호사와 같은 직업은 현대사회 안에서 꼭 필요한 것이고 이런 직업을 갖기 위해서는 기나긴 세월의 공부와 경쟁과 희생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렇게 힘든 세월을 거치고 졸업을 하면 좋은 수입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부모님들은 그런 많은 혜택을 보고 우리들에게 이런 선택을 강요하십니다. 현대사회에서 독립하려면 좋은 수입은 필수이고 만약에 그렇지 못하면 삶은 궁핍하고 여유가 없고 의존적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대부분의 부모님 세대는 옛날에 가난을 경험했거나 모국에서나 혹은 타지에서 비참한 경험과 수치를 겪으면서 일해 왔기 때문에 자식들에게는 그나마 더 나은 인생을 살게 하려고 이런 사회적 지위가 높은 직업들을 강요하는 것이라고 믿습니다.

       하지만 장래의 아이들과 청년들은 달라져야 합니다. 혹시 사회에서 존경받기 위해서나 높은 수입을 얻기 위해서만 그런 직업들을 얻으려고 노력한다면 저는 그것에 완전히 반대합니다. 열정을 가지고 일생을 의학과 법에 바칠 각오가 된 사람들이 그런 직업에 들어가야지 사람의 생명을 살리고 나라의 법을 지키는 일을 부귀영화를 누리기 위해서만 추구한다는 것이 무슨 말도 안 되는 이야기입니까? 아주 별 볼일 없고 열정 없고 기계적인 의사와 변호사들을 탄생시키는 사고방식입니다. 다른 선택권들이 있다는 것을 아이들로 하여금 깨닫게 하고 스스로 선택하게 인도해 줘야 합니다. 사회에 존재하는 불의를 정정하는 일, 자신의 가장 창의적인 비전을 현실화시키는 일, 불우한 사람들을 돕는 일, 환경을 보호하는 일 등 중요한 일들이 셀 수 없이 많습니다. 하지만 그런 다른 선택들은 전혀 거론되지도 않고 야심 있고 똑똑한 청년들이 그저 돈, 직업의 명예, 혹은 사회적 지위만을 중요시하게 된다면 우리의 장래는 망한 것과 다름없습니다.

       미국의 다니엘 핑크 (Daneil Pink), 사이몬 사이넥 (Simon Sinek) 그리고 라지 라구나탄 의사 (Dr. Raj Raghunathan)는 유명한 작가들인데 만족할 수 있는 커리어란 무엇이고 직업에서 진정한 행복을 찾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깊게 조사한 인물들입니다. 그들의 책에서는 인간은 가장 기초적인 욕구가 만족된 다음에는 직업에서 아래의 요소들을 찾게 된다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1. 의미 있는 인간관계

2. 자신의 업무능력, 기술, 재능의 발달

3. 직업 안에서 독립적인 선택을 할 수 있는 자유

4. 자신에게 원동력을 주는 의미 있는 회사의 사명/목적

5. 자기가 회사 안에서 도움이 되고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느끼는 것.

사회적 가치관과 문화에 있어서 또 하나 언급하고 싶은 것은  우리의 자기 정체성 (self-identity)과 자기 개념 (self-concept)이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입니다. 2세나 1.5세 아시아계 미국인들은 미국에서 성장할 때 주로 백인이나 흑인들 커뮤니티 속에서 소수민족으로 사는 것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어렸을 때 집단 따돌림이나 인종차별을 자주 경험합니다. 그런 일들이 너무 심각해서 트라우마를 겪은 젊은이들은 30대와 40대가 넘은 성인이 되어도 그 상처가 남아서 어렸을 때 놀림 당했던 자신의 동양적 외모를 쉽게 받아들이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동양인’이라는 자기 개념 속에서 상처를 받고 고통을 겪는 현상입니다.

그것뿐만 아니라 미국의 텔레비전 미디어와 할리우드의 영화들은 역사적으로 아시아계 미국인들을 덜 떨어진 이미지로 만들어 놓은 원본인 입니다. 지난 10년간 이 문제는 조금씩 개선되어가고 있지만 동양 남자들은 미국의 미디어 속에서 “남성미와 자신감이 떨어지고 리더십 기질이 부족하다”라는 편견이 강하고 동양 여자들은 주로 “이국적인 걸프렌드감” 으로 취급당하기도 합니다. 미국에서 태어나는 아시아계 아이들은 텔레비전 드라마나 영화 속에서 자기와 비슷하게 생긴 동양인 롤 모델을 잘 찾을 수가 없습니다. 요즘은 시대가 달라져서 YouTube 덕분에 방송국이나 텔레비전에 제한될 필요가 전혀 없지만 주류 매체에서는 아직도 이런 면에서 부족합니다. 이렇게 미국을 예로 들어봤지만 한국에서도 분명히 방송이나 텔레비전 드라마들이 대중에게 미치는 보이지 않는 영향이 존재합니다. 작은 예를 들어보자면 드라마에서 흔히 보는 부잣집 주인공의 화려한 집과 옷들이 그렇고 그들의 꾸며진 외모 등도 그렇습니다. 그런 것들을 매일 드라마를 통해 보면서 시청자들은 자기 개념과 자기 정체성에 있어서 어떤 영향을 받는 것일까요? 더 조사할 가치가 있는 질문이라고 봅니다.

     위에서 언급한 모든 일들을 하루아침에 바꾼다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제가 강조하고 싶은 점은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사회와 문화는 개인에게 도움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해를 끼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사회의 가치관이 뭐라고 하던 텔레비전 속의 광고가 뭐라고 언급하던 우리는 우리의 각자 마음속에서 건강하고 강한 내적 대화를 만들어내야 하는 개인적 책임이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이 뭐라고 하던 당신이 독특하고 매력적이고 소중하다는 신념을 잃지 않게 노력해야 합니다. 물론 이건 쉽지 않습니다. 우리는 한 나라의 국민으로서나 한 회사의 일원으로서 그 조직의 울타리 안에 존재하기 위해서 압박과 영향을 받습니다. 하지만 명심하셔야 될 것은 우리의 사회적 가치관을 지배하는 “지배층”에 있는 정치인들이나 매스 미디어의 리더들, 오피니언 리더들, 혹은 소셜 미디어 인플루언서들은 당신과 저 같은 평범한 사람들의 정신 건강 따위는 별로 개의치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러니 자기가 자리 잡고 있는 사회의 가치관을 깨닫고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그 모든 것을 흡수하지 않는 것이 더 건강하다고 생각합니다. 미국의 인구 절반이 동양인 남자가 남성미와 자신감이 부족하다고 믿는다고 해도 진짜로 동양인 남자들이 자기 자신에게 문제가 있다고 믿으면 안 되는 것처럼 말입니다.

마무리하기 전에 한국적인 문화의 장점들을 더 강조하고 싶습니다. 제가 지금까지 언급한 바로는 한국적인 사상 안에 정신건강에 해로운 부분들이 있어 비판적으로 이야기했던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모든 것이 나쁜 것은 아닙니다. 한국은 기나긴 세월의 투쟁을 이겨온 깊은 역사와 철학, 문화적 재산, 재능, 기술, 용기, 예술성 등을 겸비한 엄청난 가능성의 나라임이 틀림없고 오늘날 온 세계가 한국이라는 나라에 열광하고 있습니다. 장래에 대한민국을 발전시키려면 이런 장점들을 잊지 않으며 자부심을 가지되 현대사회 안에서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새로운 요소들은 무엇인가를 정확히 파악하여 외면하거나 부정하지 않고 확실히 직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믿습니다.

마지막으로 2019년에 보도된 세계 각국의 자살률을 정리합니다. 각 나라에 따라 기후, 정치적 혹은 경제적 상황 등이 너무나 다르기 때문에 이 자살률의 통계가 문화적인 요인 때문에 만 일어나는 것이라 판단할 수 없습니다. 그 방대한 이유들 하나하나를 모두 이해하는 것은 이 책에서 다 다루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반드시 장래에는 인류가 이 진실을 파해쳐 나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나라들에 비해 가장 낮은 자살률을 보이고 있는 나라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 바베이도스
  • 자메이카
  • 몰디브
  • 파키스탄
  • 모로코
  • 필리핀

반대로 가장 높은 자살률을 보이고 있는 나라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 리투아니아
  • 가이아나
  • 수리남
  • 한국
  • 일본

(출처: 2019년 World Population Review 뉴스)

Chapter 13: The Current State of Depression Treatment and Understanding

Excerpt from “Diaries of My Older Sister”

When it comes to accurately defining the causes of major depression, many questions still remain unanswered today. While researching this topic, I had the chance to interview Dr. Chad Ebesutani, a leading clinical psychologist with a Ph.D. from UCLA and founder and director of the Seoul Counseling Center in South Korea. Following are excerpts from our conversation. 

Dr. Ebesutani: “If I were to grade the current level of mental health treatment for depression in the world, I would give it a C. We have figured some things out, but definitely in need of improvement. I’m not satisfied with the current state of things at all. There’s so much we can do and I know we can do more. I don’t want to blame psychologists—as I understand the challenge of treating complex things—but we have yet to really understand what works [for depression] and how to communicate what works to others. 

At the end of the day, I believe that effectively treating depression involves starting with looking at what the individual can do first. In this way, everyone can be part of the solution. Otherwise, it really is a downward spiral—you start feeling down, you don’t do anything, you feel even more down so you don’t meet anybody. It’s hard to pick yourself up after that [spiral].”

Dr. Ebesutani states that depression is a multifaceted problem that often cannot be addressed by medication alone, but needs more of an integrated, comprehensive approach. He also sees the need to integrate “cognitive behavior psychotherapy” (which is more of a science and technique-oriented) with the warmer and more emotionally-oriented “client-centered” approaches. 

Dr. Ebesutani’s opinions rang true to my own experiences as well. Most people did not challenge the over-simplistic explanation from Katie’s psychiatrist that he wasn’t exactly sure what had led to Katie’s suicidal depression. After all, Katie had been going through weekly therapy sessions and prescribed antidepressant medication by the clinic. When I started experiencing depression myself in college and showed up at the university health clinic in desperation, I also got a sense of what Katie might have experienced. I felt like a nameless object in a factory queue that just needed another quick-and-easy fix so that I could make room for the next person in line. I waited my turn in a quiet lobby with other grim-looking students and then received a 45-minute conversational evaluation in a private room where I was told to talk about my biggest problems to a complete stranger who told me she was a social worker. After I was done trying to poorly articulate my internal struggles and rumination to this person in 45 minutes, she simply told me that I should be prescribed SSRI medication and come back next week if things don’t improve by then. To be honest, it was an incredibly discouraging and disappointing experience.

Fast-forward to today, we still have yet to see any noticeable paradigm shifts for diagnosing or curing depression. One of the reasons I wrote this book is to bring more awareness to the fact that things are clearly not working very well with the status quo. If the current system of psychiatry and psychotherapy were enough to handle this global, multifacted problem, we wouldn’t be seeing the continuing rise of depression and suicide rates today. I am not saying that we should discontinue trusting in psychiatrists altogether; we can all benefit immensely from their expertise and experience. To be honest, they all have an incredibly tough job. When you compare psychology to “observable” sciences like chemistry, biology or physics, we must remember that we still have no reliable way to see into the “black box” of the brain and deduce which thought patterns are exactly leading to which neural activity. No objective tests or measurable metrics are currently available for doctors to deterministically “test” for depression, like we can test blood samples, urine samples or heart rate for detecting various diseases. This may be one of the biggest reasons psychology continues to rely on subjective patient feedback and conversational evaluations. Psychologists ask questions to their patients and check to see if they fit the criteria for depression outlined in a book called the DSM,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published by th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However, there’s so much more we can do right now as individuals and a collective community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depression and the general level of treatment at large, instead of chalking everything up to an unexplainable “chemical imbalance in the brain” that only doctors and prescription medicine can solve. In fact, many professional psychiatrists, psychologists and pharmaceutical companies today may be just as confused as the rest of us about the underlying causes of clinical depression. Dr. Daniel Carlat, a renowned clinical professor of psychiatry at Tuft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covered this very topic in his 2010 book, Unhinged: The Trouble with Psychiatry – A Doctor’s Revelations about a Profession in Crisis.  Dr. Carlat emphasizes that the current psychiatric community places undue emphasis on psychopharmacology (the study of the use of medications in treating mental disorders) while convincing ourselves that we now have cures for mental illnesses “when in fact we know so little about the underlying neurobiology of their causes that our treatments are often a series of trials and errors. ”[17]

It’s not all bad news, howeve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or CBT has proven to be very effective and promising for treating depression in the psychotherapy community. CBT is intriguing because it focuses on how your thoughts and feelings lead to behavioral patterns, and teaches you to notice and change your negative habitual patterns by challenging your own thoughts, similar to what we discussed in the first section. As disappointed as I was in Katie’s campus psychiatrist, I do still have a lot of hope and respect for doctors and therapists out there who genuinely care about their patients, continue to create groundbreaking research and are skilled in different forms of therapy such as CBT. Based on my experiences, I can definitely say with confidence that not all psychiatrists, psychologists and psychotherapists are “created equal.” Some are better than others, by a mile. Some are absolutely terrible and care more about money than their patients. 

Furthermore, researchers and academics are constantly improving their understanding of clinical depression all over the world. For example, in 2015, the PNAS scientific journal published that meditating, exercising and spending time in nature are highly effective in preventing rumination and overactivity in the brain.[18] According to the study, participants who went on a 90-min walk through nature reported lower levels of rumination and showed reduced neural activity in an area of the brain linked to risk of mental illness compared with those who walked through an urban environment. Studies also show that maintaining a nutrient-rich diet, journaling about emotions, engaging in art/music therapy, exposing yourself daily to sunlight and spending time to bond with others all help in fighting depression by helping you regain a balanced level of neurotransmitters such as dopamine, serotonin and oxytocin. As much as I want to expand on every single one of those important findings, there’s already plenty of great literature out there on each of those topics so I encourage you to read them (some of them are below). If I were to highlight three topics in particular, it would be nutrition, physical exercise and social support. Speaking as someone who’s experienced and recovered from major depression before, understanding and improving those three aspects were major game changers for my own recovery. 

Here’s a short list of great books that I most recommend on the topic of defeating depression, handling rumination and understanding our brain:

  • Change Your Brain, Change Your Life: The Breakthrough Program for Conquering Anxiety, Depression, Obsessiveness, Lack of Focus, Anger, and Memory Problems by Daniel G. Amen 
  • Feeling Good: The New Mood Therapy by David D. Burns.
  • The Depression Cure: The 6-Step Program to Beat Depression without Drugs by Stephen S. Ilardi 
  • How God Changes Your Brain: Breakthrough Findings from a Leading Neuroscientist by Andrew Newberg and Mark Robert Waldman 
  • Stress-Proof: The Scientific Solution to Protect Your Brain and Body–and Be More Resilient Every Day by Mithu Storoni 
  • Brain Rules: 12 Principles for Surviving and Thriving at Work, Home, and School by John Medina
  • How to Stop Worrying and Start Living by Dale Carnegie 

Although we are still currently unable to pinpoint the exact causes of depression today, if we were to integrate the efforts of experienced healthcare professionals and researchers with our own individual efforts, depression may be more effectively understood and treated all over the world. As it stands now, there’s no denying that there’s so much more we need to discover about how depression works. 

The following is the rest of my interview with Dr. Ebesutani. We talked about the impact of culture, history and economics on the depression and suicide epidemic in South Korea.

Terry: “Dr. Ebesutani, what do you think about South Korea’s unique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today?” 

Dr. Ebesutani: “There seems to be two worlds trying to integrate. New Korea & Old Korea. Parents & Children. East & West. Modern & Traditional. They are trying to integrate and they don’t know how. And I believe this is causing a lot of pain in Korea, as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of each other leading to social conflict. 

Another factor affecting depression in Korea, I think, is that society is still built upon rigid structures, hierarchies and order. While these things do have their merit and can help societies, such as helping to stabilize systems, I believe they are hard on individuals. In rigid systems, you often need to give up choice and your desire to pursue what is individually meaningful to you. There’s pros and cons with that. But I do believe that overly rigid hierarchies, order, and structures can harm individuals.

The third factor that I see affecting depression in Korea are, ironically, the close-knit relationships here. Koreans value connecting with each other and Korea is a very close-knit society. Koreans worry a lot about each other. And they genuinely care about each other. The general Korean mindset seems to be: “I genuinely care about you. We are connected and I need to take care of you.” For example, there’s frequent mixing of money, helping each other financially through family, relatives and friends. People also make comments to each other on personal matters, mostly out of concern. While this can be positive, I do see the negative side effects of being too closely intertwined in relationships. Things get messy, and people get hurt. There’s a lot of unwanted intrusion into peoples’ lives.” 

Terry: “What do you think about the impact of South Korean parent-child relationships on their mental health?” 

Dr. Ebesutani: “This is a complicated and difficult question to answer. My opinion is this.  When Koreans recovered from the IMF crisis, they sacrificed their individual desires and pooled money and efforts together to keep the country alive. It’s definitely related to the Korean culture—if you want to do something great, you need others and sacrifice yourself to do something as a group. Korea has proven that. Koreans are willing to sacrifice themselves for their family and their country like they did for IMF, and parents do the same for their children. Some influences include Confucianism, and the ideas of group harmony over individual desires. 

I work with lots of international Korean students who studied abroad and have become westernized. They definitely do not see the same world as their parents. Korean parents tend to have high standards and also want their children to try hard to live a better life than their own because they had to make many hard sacrifices in the past. So they force their children to live a “better” life that they think they should live.

Children are thus often criticized and rarely praised, disciplining them often in order to keep their children achieving more and more, which leads to long-term stress, anger and frustration in their relationships. Korean children become angry at their parents and the world. The parents’ perspective is that they are sacrificing so much for their children and their family so their children should sacrifice to meet their demands as well to be able to live a better life. But that generational integration is not happening very well. We need to find ways to better support that.” 

I sincerely thank Dr. Ebesutani again for his gracious support. I was deeply moved by his willingness to accept my request for an interview out of his busy schedule and his words of encouragement for me to continue writing this book.